비만은 유전? 비만체질의 원인이 밝혀졌다
비만이 유전이라고?
뚱뚱한 사람은 많이 먹어서 그런거 아니야?
그런데 똑같은 양을 먹어도
더 살찌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덜 살찌는 사람이 있잖아요
2013년 유명 과학저널인 <사이언스>에 실린 연구. 이 연구내용은 많은 사람들을 충격에 빠지게 합니다.
날씬한 쥐의 장내 미생물을 비만 쥐에게 옮겼더니, 비만 쥐의 체중이 비만 -> 정상으로 돌아왔다는 것.
또, 똑같은 환경에서 같은 식사를 먹었는데
한달뒤 체중을 살펴보니
비만 쥐의 장내세균을 받은 쥐는 뚱뚱해지고
보통 쥐의 장내세균을 받은 쥐는 몸무게 변화가 없었다고.
쥐만 그런 거 아니야? 아니요!
체형이 다른 쌍둥이 자매의 장내 미생물을 가지고
동일한 실험을 진행했는데, 결과는 마찬가지였어요.
비만인 언니의 장내세균을 받은 쥐는 뚱뚱해지고
날씬한 동생의 장내세균을 받은 쥐는 정상체중 유지했다고 해요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비만을 일으키는 원인이 장내세균이라는 점입니다.
비만과 날씬한 사람은 어떤 점이 다르길래 그럴까요?
장에는 다양한 균이 살고 있는데,
유익균, 유해균으로 크게 나뉩니다.
비만인 사람의 장에는
나쁜 장내세균인 유해균(퍼미큐테스)이 많고
날씬한 사람의 장에는
좋은 장내세균인 유익균(박테로이데테스)이 많아요
유익균보다 유해균의 비율이 더 높을수록
비만이 되기 쉽다는 거예요.
유해균이 유익균보다 더 많으면 독소를 내뿜어,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의 기능을 저하시켜 과식을 유발하고, 혈당을 빠르게 올리는 달달한 음식을 계속 먹게 됩니다.
반면 날씬균이 많으면 지방분해 효소를 활성화해
체내 지방 연소와 체중 감소에 효과를 주며
혈당 감소 호르몬을 활성해 체내 혈당 수치도 낮춰준다고 하죠.
비만세균을 잡으려면
장내 유익균인 프로바이오틱스의 양을 늘려줘야 합니다.
방법1) 유익균(유산균)을 먹는다
첫번째로는 몸에 좋은 프로바이오틱스를 충분한 양을 섭취하는 것. 여러 논문을 통해 검증된 바로는 최소 10억~100억마리 유산균을 섭취해야 하며, 프로바이오틱스는 살아있는 생균이기 때문에 포장과 보관이 잘 되어있는 유산균으로 먹는걸 권장한다고 해요
김치에도 유산균 많은데 볶거나 끓이는 등 가열하는 경우 많이 사멸하고, 김치를 담그고 50일이 지나면 젖산이 과다 생성되어 유산균이 급격히 줄어든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비만체질을 바꾼다는 프리바이오틱스, 모유유산균이 인기가 많은데, 유산균은 아무거나 고르지 말고 꼭 제대로 된 유산균인지 확인하고 선택하는게 좋겠습니다.
[유산균 잘 고르는 법] 전문가가 추천하는 좋은 유산균 고르는 법은?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유산균고르는 방법을 간략하게 정리했으니 제품을 고르는데 참고하세요 1. 보장균수가 100억인지 확인한다 실제 연구들에서는 10억~100억의 유산균을 권장하지�
alldaylife.tistory.com
방법2) 유익균에게 먹이를 준다
인스턴트식 식사, 고기 위주의 서양식 식단은 식이섬유가 부족해 유익균이 줄어들게 됩니다. 때문에 유산균의 먹이가 되는 프리바이오틱스를 먹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프리바이오틱스는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을 억제하는 것으로 식약처 인증을 받은 건강기능식품으로, 꾸준히 섭취해 건강한 체질로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제로 아이들을 대상으로
28일동안 프리바이오틱스를 먹였더니
5천마리에서 30억으로
약 100배 가량 증식되었다고 하니,
유산균의 먹이인 프리바이오틱스도 같이 관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프리바이오틱스 먹으면 유산균 효과가 100배? 유산균이랑 뭐가 다른지 한방정리
최근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신바이오틱스 등 다양한 용어들때문에 헷갈리시죠. 프리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 한방정리 프로바이오틱스 = 유익균(유산균) 프리바이오틱스 = 유산�
alldaylife.tistory.com
'about 영양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바이오틱스 잘 고르는 방법, 쉽게 요약했어요(제품비교 있음) (0) | 2020.06.19 |
---|---|
[유산균 잘 고르는 법] 전문가가 추천하는 좋은 유산균 고르는 법은? (1) | 2020.06.19 |
영양제 섭취 시간은? (0) | 2019.12.26 |
함께 먹으면 좋은 영양제 / 함께 먹으면 안좋은 영양제 (0) | 2019.12.25 |
sci(science citation index) 논문이란? (0) | 2019.12.24 |